** 게시물보기 **

닉네임

세계카페트박물관 

작성일

2006.08.01 20:22:27

제목

카페트 안전재고=3)안전재고량

<카페트 안전재고=3)안전재고량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카페트 재고관리


**제품 재고의 운영방법
=어느정도의 주문 수량을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경제적 注文량
=언제 주문할 것인가?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注文 시점
=항상 얼마만큼의 재고를 보유해야 하는가?..............안전 재고량

이것을 잘 조화있게 운영하면,경영은 호전되는 여건이 많이 마련된다.

ㄷ)안전 재고량


.결품확률과 안전재고량

결품은 조달기간중의 수요의 변동에 기인하여 발생하지만,
그 변동을 정규분포로 가정하면, 조달기간중의 수요의 변동을 표준편차로 표현할 수 있다

( 예를 들어), 6개월간의 매출 추이가 다음과 같다면,

Jan. 5,000 m2 ..... Feb. 2,000 m2 ..... Mar. 3,000 m2
Apr. 3,000 m2 ..... May. 2,000 m2 ..... Jun. 4,000 m2

평균치 = 3,170 m2,
표준편차(1.000시그마)= 1,070 m2 로 계산된다.

표준편차........안전재고.........결품확률.................재고증가율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0.1%比 ..1%比 .. 3%比.. 5%比
1.640시그마= 1,755 m2............ 5%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-
1.869시그마= 2,000 m2............ 3%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- .....14%
2.320시그마 = 2,482 m2............ 1%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- .....24%.....41%
3 시그마.... = 3,210 m2............ 0.1% ...............-.....29.3%.....60%......83%

안전재고가 증가할수록 결품확률은 줄어든 반면, 재고량은 증가하게 된다.


.재고결품할 확률
안전재고 = 2,000 m2의 경우,
(5,170 m2- 3,170 m2)/ 1070 = 표준편차(시그마)=1.869 시그마 로 되어
5,170 m2 보다 바깥쪽에 올 확률은 정규분포에 의해 찾아보면 0.0307로 나와,
결품확률이 3%로 된다.

이 확률은 1%이하로 떨어질 경우는 표준편차(시그마)=2.320 시그마로 되어
1,070 m2* 2.32= 약2,500 m2 로서,
안전재고를 500m2 더 올려서 2,500m2 로 할 필요가 있게 된다.
3% ; 1%에서는, 2.32/1.87=1.24로서 24%만큼 재고가 증가하게 된다.


결품률이 없는 것이 이상적이지만, 재고space와 재고금리를 고려하면,
결품확률 0.1%에서는 표준편차(시그마)=3 시그마로 되며
3%의 경우에는 3/1.87=1.60으로서 60%만큼 재고가 증가하며
5%(시그마=1.64)의 경우는 3/1.64=1.83으로서 83%만큼 재고증가
하여, 증가된 만큼 재고 스페이스가 더 필요하기때문에
현상에 맞춘 목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
단, 결품이 생기면, 단기간에 보충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.

IP:211.52.142.253